기존 질서와 시스템 파괴자 비트코인

이제 비트코인은 일부 정부나 기관에서도 제도화해서 받아들였고 억명 정도의 개인이 비트코인을 소유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현시점에서 비트코인을 차단하거나 불법화하기는 거의 불가능해 보입니다.

그럼에도 비트코인이 기존 질서를 파괴한다고 비판하고 비트코인을 법정화폐로 거부하려는 움직임 또한 존재합니다.

비트코인을 두렵게 보는 시선 즉 비펀적 시각의 근거는 정당한 것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비트코인은 왜 기존 질서와 어울리지 않는가?

우선 비트코인이 나오기 전의 세상을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가 사는 이 세상은 중앙집권화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또한 거래를 위해서는 제3의 신뢰 기관이 반드시 존재해야 합니다. 정부가 보증하거나 정부가 인허가를 해준 기관만이 신뢰 기관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모든 경제활동의 기록과 거래는 정부나 이 기관들이 책임지고 관리, 통제하고 있습니다.

제3의 신뢰기관으로 불리는 은행 같은 곳이 정말 신뢰기관인지 생각해 볼 필요도 있습니다. 우리가 이 기관을 신뢰하는 것은 법제도로 이 기관을 거쳐야 현대 경제활동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은행은 각종 내부의 도덕적 해이로 인한 사고와 외부 해킹으로 고객의 소중한 돈을 잃어버린 경험이 적지 않습니다.

그러면 정부는 은행을 살린다는 이유로 세금을 은행에 지원해 줍니다. 즉, 피해는 불특정 다수가 가지고 이득은 소수의 기득권만이 챙기는 구조가 지금의 질서입니다.


은행 거래를 하기 우해 우리는 은행이 요구하는 개인 정보를 주어야 하며 각종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해서 나의 자산을 지켜야 합니다. 또한 각종 수수료와 은행 업무시간제한으로 수많은 불편과 불필요한 비용을 감수하는 것이 기존 질서입니다.

보안을 위해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비번을 자주 바꾸면서 금융 생활에 불편이 있어야 오히려 안전하다는 착각을 많은 사람들이 하고 있습니다. 물론 하지 않는 것보단 안전하지만 은행과 금융기관들은 늘 보안에 취약성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중앙집중식 시스템은 본래 해킹에 취약할 수밖에 없습니다. 단지 우리는 각종 보안 프로그램을 깔면 안전하다는 착각을 할 뿐입니다.

이렇게 개인의 정보를 가지고 거래를 통제하면서 각종 수수료로 이득을 취하는 금융 기관은 기존 질서의 최대 수혜자입니다.

그런데 비트코인은 이 중앙화 시스템을 쓸모없이 만들어버리기에 기존 질서의 수혜자들은 싫어합니다. 자신들이 가지던 정보의 비대칭 우위가 사라지게 됩니다.

비트코인은 순수 P2P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중앙 관리자가 존재하지 않는 분권화 시스템입니다. 네트워크 자체가 신뢰를 기반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제3의 신뢰 기관 또한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거래를 위해 개인정보를 줄 필요도 그리고 수수료도 낼 필요가 없습니다. 물론 현재 수수료에 비하면 작지만 블록 체결을 위한 채굴자에게 일부 수수료를 지급합니다.

또한 전 세계 어디든 시간의 제약 없이 환전 수수료 없이 어디든 송금이 가능합니다.

자 그럼 이제 다시 생각해야 합니다.

기존 금융질서는 누구를 위한 것인가? 그리고 비트코인이 가져올 새로운 금융질서는 누구를 위한 것인가?